<기본 용어 설명>
이더리움: 코인세계에서 부대장이라 불리는 코인
가스비: 수수료
메타마스크 Meta Mask: NFT 구매를 위해서는 지갑이 준비되어있어야 합니다. 온라인 상에서의 지갑을 메타마스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
서론: 코인구매에서 NFT 구매까지 전체 과정 간단 브리핑
안녕하세요 여러분. 오늘은 코인을 업비트에서 매수하는 방법과 업비트에서 매수한 코인을 FTX 거래소로 이동시킨 뒤 FTX 거래소에서 METAMASK 지갑으로 코인을 최종 이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.
NFT 를 어떻게 구매하는지 궁금해하다보니 코인 매수에서 Metamask까지 오게되었네요. 수수료 총 4,500원 정도로 이 모든 과정을 끝낼 수 있었습니다. 차근히 알려드리기 전에 큰 틀 먼저 그림으로 보여드립니다:
1. 업비트에서 트론 매수
2. 업비트에서 트론을 FTX 거래소로 이동시키고 FTX 거래소에서 트론을 이더리움으로 전환한다
3. FTX 거래소에서 이더리움을 메타마스크로 보낸다
4. 오픈씨 (Open Sea)에서 메타마스크 지갑을 이용해 작품 구입을 한다
왜 업비트에서 바로 Metamask로 가지 않고 FTX 거래소를 거치는가?
ㅇ 업비트에서 Metamask로 이더리움(ETH)를 바로 보내게 되면 출금 수수료가 0.018ETH (즉 9만원)
ㅇ 빗썸에서 Metamask로 이더리움(ETH)를 바로 보내게 되면 출금 수수료가 0.01ETH (즉 5만원) 발생합니다
ㅇ 반면에 FTX에서 이더리움(ETH) 출금시 발생하는 수수료는 0.001ETH 약 4,500원~5천원정도
왜 업비트에서 이더리움을 매수(구입)하지 않고 트론으로 구입하나요?
ㅇ 업비트에서 이더리움 수수료를 엄청 떼어먹고, 원래도 이더리움 수수료가 비싸다고 합니다
ㅇ 그리고 트론은 이동시간이 빠르고 수수료도 매우 저렴 (제일 저렴) 합니다
** 아직 시작안해보신분들은 모르겠지만, 생소하게도 업비트와 FTX 그리고 Metamask를 거칠 때마다 코인이 바로바로 이동하지 않고 출금 진행 시간이 걸립니다 (몰랐을 땐 제가 잘못된 주소로 보낸 줄 알고 매우 당황했네요)
Open Sea 오픈씨 설명
Open Sea, 오픈씨 사이트에서 그림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첫 가스비 지불이 필요한데 그 지불을 이더리움 / 클레이튼 / 폴리곤 셋 중 하나를 이용해서 할 수 있다고 합니다.
클레이튼 폴리곤은 전송 속도가 매우 느리고 불편한 점들이 있기 때문에 이더리움을 사용하는게 낫다고 하네요.
업비트에서 트론을 사고 FTX 라는 해외거래소에 트론을 전송하고 트론을 이더리움으로 바꾼 뒤 메타마스크로 전송하면 됩니다 (위에서의 내용과 같은 말입니다)
1. NFT 구매 방법 1단계: Meta Mask 메타마스크 지갑 만들기
계정 시드 구문은 은행에서 쓰는 보안카드 같은 역할입니다
저는 단어를 잘 적어서 코팅한 뒤 집안 어딘가에 숨겨두었습니다 (ㅎㅎ)
이제 메타 마스크 지갑을 갖게 되셨습니다.
다음 게시물에서는 업비트에서 FTX를 거쳐 Metamask로 이더리움을 옮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궁금하신 점 있으시다면 댓글주세요!
'블록체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FT 구매 방법 2단계 (업비트에서 트론 구입, FTX 지갑 만들기 ) (1) | 2022.02.11 |
---|---|
오픈메타시티 (초대코드 HUANTE) 메타버스 부동산 / 아파트 청약 (0) | 2022.02.07 |